티웨이 항공 수화물 어떻게 보낼까?

무료 수화물 보내는 방법

오늘의 포스팅 내용이에요 :D

티웨이항공 수화물 규정티웨이항공 수화물 규정 확인하기


이번 시간에는 티웨이항공 수화물 규정에 대해 확인할건데요.

티웨이항공을 이용하시려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저가 항공을 대표하는 티웨이에 대해 모르시는 분들은

이번 포스팅을 보시고 차근차근 알아가셨으면 하네요.


티웨이항공 수화물 규정


티웨이 항공은 국내 최초의 저가항공사로 출발하였는데요.

2010년 9월에 운항을 재개한 항공사라고 합니다.

2009년 파산을 신청한 티웨이 전신인 한신 항공을 인수하여

2010년 신보종합투자가 인수를 하면 사명을 티웨이로 변경하였는데요.

티웨이의 T는 Together(함께), Today(오늘), Tomorrow(내일) 등을 뜻한다고 하네요.


티웨이항공 수화물 규정


2010년 9월 운항증명을 다시 발급받아서 김포~제주 운행을 시작하였고

2011년 7월 국제선 운항증명서를 취득하여

같은 해 10월에 인천~방콕 노선에 신규 취항하게 됩니다.

한국소비자원이 주관한 '저비용항공사 소비자 만족도 평가'에서

당당하게 1위 항공사로 선정하는 등 저가 항공에서

일취월장을 하고 있는 티웨이 항공사는

현재 8대의 항공기를 운항하고 있다고 하네요.


티웨이항공 수화물 규정


티웨이 항공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았으니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수화물 규정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수화물은 일반적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기내수하물과 탁송수하물로 나눌 수 있는데

기내수하물은 여객으로부터 인도받지 않고

기내에 휴대하는 수하물을 말하며 탁송수하물은

운송인이 여객으로부터 인도받아 직접 보관하면서

운송하는 물건을 말한다고 합니다.


티웨이 홈페이지에 가면 수하물 보내는 법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확인을 하실 수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무료수하물 보내는 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티웨이항공 수화물 규정


네이버에 티웨이 항공 검색을 해주세요.

그럼 위와 같이 티웨이 항공이 검색된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티웨이 항공을 누르고 접속을 해주세요.


티웨이항공 수화물 규정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시면 다양한 메뉴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서 우리는 서비스 안내로 가서 수화물 보내기 - 무료수화물을

클릭해서 무료 수화물 보내는 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티웨이항공 수화물 규정


기내에 반입할 수 있는 무료 수하물은 삼면의 합이 115cm,

중량 10kg 이하인 수화물 1개에 한해 무료로 휴대 가능하다고 하네요.


티웨이항공 수화물 규정


기내반입을 제한하는 물품에 대해서도 안내를 하고 있는데요.

날카롭거나 뾰족하거나 긴 봉 형의 물품

모든 종류의 도검류, 골프채, 가위, 배터리 등과 같이 타 고객에게 유해를 입힐 수 있는 물품



화학물질, 유독성 물질, 폭발성 및 인화성 물질

평상시 사람이 지나지 않는 공격적인 물건, 기타 무기로 사용될 수 있는 물건

위와 같은 물품에 대해서는 기내 반입을 제한한다고 하네요.


티웨이항공 수화물 규정


기내반입 보관장소는 선반 위나 앞 좌석 의자 밑에 보관이 가능하며

본인 발 밑, 좌석에는 보관이 불가능하다고 하네요.

보관 장소 확인하셔서 남에게 피해 주는 일이 없도록 해주세요.


티웨이항공 수화물 규정


위탁 가능 무료수하물 같은 경우 국내선에선 성인 및 소아의 경우

국내선과 국제선의 괌 제외 지역에는 15kg



괌은 2개, 각 23kg까지 허용이 된다고 하네요.

위탁 가능 무료수하물 물품에 대해서는

아래 이미지에 참부하였으니 확인해주시기 바래요.


티웨이항공 수화물 규정


오늘은 티웨이항공 수화물 규정에 관해 확인해보았어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저가항공사이지만

소비자 만족도가 가장 높은 항공사라고 하니

가까운 거리를 저렴하게 여행하길 바라는 분들은

티웨이 항공 이용해서 여행 계획 짜보시기 바랄게요.

다음 시간에는 티웨이 항공의

다른 수화물 보내는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


여러분의 공감과 댓글은 60초다이어트에 큰 힘이 됩니다! :D

+ Recent posts